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러시아혁명

(2)
[책 "모던타임스"]1차 세계대전과 민족자결주의 그리고 베르사이유 조약 20세기 초 1차세계대전이 발발할 무렵에 동유럽 및 중부유럽의 25% 지역에는 다양한 민족이 뒤섞여 살고 있었다. 영국과 프랑스도 다양한 인종이 뒤섞인 넓은 영토 때문에 민족주의를 토대로 평화를 이루려는 생각이 없었다. 전쟁 중에도 영국, 프랑스, 러시아는 비밀조약들을 체결하여 다른 민족이 점유하는 땅을 나눠가졌었다. 프랑스는 1917년 3월 11일 러시아와의 비밀조약에서 러시아의 폴란드 접수와 프랑스의 라인란트 수용을 양해하기로 했다. 영국과 프랑스는 1916년 체결된 비밀 조약 사이크스-피코협정에서 터키의 아랍영토를 떼어내 나눠갖기로 하였다. 이태리는 1915년 런던비밀조약에서 티롤, 달마시아의 지배권을 넘겨받았다. 영국과 프랑스는 러시아 왕정이 무너지고 합스부르크가 단독강화를 거부하자 민족주의를 지..
[모던타임스1 digest] 2장 전제주의 유토피아 - 인류의 적, 레닌의 엉터리 공산혁명 1917년 4월 14일 레닌이 오랜 망명생활을 접고 취리히를 떠나 러시아의 페트로그라드로 돌아갔다. 그의 귀환은 독일의 후원으로 가능했는데 독일의 소위 '혁명화 정책'의 일환이었다. 그것은 일차대전 동안 연합국 편을 든 제정 러시아를 붕괴시키는 전략이었다. 혁명은 레닌에게 종교였다. 그리고 그의 삶은 폭력적이기는 하지만 종교적 맹신에서 나오는 폭력성과 많이 닮아 있었다. 어떤 이는 레닌의 극단적인 독선과 불관용, 청교도적 태도가 칼뱅과 흡사하다고도 할 정도였다. 그는 수도사처럼 세상의 실제와 격리된 삶을 살며 공산당의 전제군주로 군림했다. 레닌의 혁명은 여러 면에서 마르크스가 주장하는 프로레탈리아 혁명과 판이하게 달랐다. 공산당 기관지 '프라우다'의 책임자로 오래 일했던 레닌의 심복 트로츠키는 "당은 당..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