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직관

(3)
[계몽주의2.0 digest]4장 직관이 틀릴때 이성은 잘 설계된 실험을 통해 자신의 한계를 반추하고 파악할 수 있는 반면 직관은 그러지 못하다. 직관은 자신의 오류를 파악할 수 없고 교정하지도 못한다. 이같은 특성을 학문적으로는 '메타인지가 불가능하다'고 한다. 메타인지를 하는 도구가 언어이고 직관은 언어로 표현할 수 없기 때문에 생기는 일이다. 그럼 언어로 표현이 가능한 이성은 메타인지가 가능하다. 그렇다고 이성이 스스로의 한계를 발견하고 오류를 바로잡는 일을 잘한다는 뜻은 아니다. 이성은 계몽주의자들에 의해 과대포장되었다. 하지만 오류를 파악하는 일은 잘하건 못하건 이성을 이용해서만 가능한 일이다. 인간의 두뇌가 저지르는 편향에는 여러가지가 있다. 몇가지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1. 믿음지속 (belief persistence)은 첫 가설에 대한..
[계몽주의2.0 digest]2장 클루지의 기술-계몽주의가 신봉한 이성의 허약한 실체 프랑스 혁명은 '이성'을 발견한 계몽주의의 결과로 발생하였다. 그때까지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여 졌던 왕권신수설은 의심의 대상이 되더니 결국 타도의 대상으로 발전한 것이다. 이성은 모든 문제의 해결책으로 제시되었다. 프랑스 혁명의 급진성이 최고조에 달한 1792년, 왕권을 타파하고 세워진 혁명정부는 가톨릭 교회를 불법으로 선포하였고 노트르담 성당은 '이성의 전당'으로 탈바꿈하였다. 그러나 영원하리라던 이성은 프랑스 사회에 질서와 안정을 가져다 주지 못하고 20세기까지 새로운 정치적 무자비함을 드러내고 말았다. 결백한 사람들이 이성의 제단에서 수도 없이 처형되었다. 계몽주의 철학자들은 고대 그리스 전통과 중세 기독교 전통에서 이성을 부패와 부정의 바다에 떠 있는 완벽의 섬이라고 보는 견해를 물려 받았다. 그들..
[계몽주의2.0 digest]1장 차분한 정념- 이성과 직관 장단점 이성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덜 강력하다. 보수주의자들은 이러한 사실을 합리주의의 비판에 인용한다. 이성의 약점을 보완하기 위한 노력은 이성을 이용해서만 가능하다. 이성적, 합리적 판단은 그 근거를 말로 설명할 수 있다. 하지만 또다른 뇌기능인 직관적 판단은 경위를 설명하기 어렵다.인간의 뇌는 가장 낮은 수준에서 모든 문제를 해결하려는 경향을 가지고 있다. 낮은 수준에서 해결되지 않는 경우에만 한 단계 위로 올려 보낸다. 즉, 문제에 봉착하면 직관적 패턴 매칭 방식이 먼저 동원되고, 그 결과가 틀리면 다음 단계인 이성이 나서게 된다. 합리적 사고 양식은 다섯가지 특징이 있다.1. 해결책을 찾는 과정이 명시적 언어표현을 필요로 한다.2. 문제를 풀려면 '탈맥락화'가 필요하다. 직관적 사고는 문제해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