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리 큰 나무라도 작은 씨앗에서 시작되고, 싹이 튼다 해도 몇 해 동안은 자랄 수 없다.
막 싹을 틔운 어린나무가 생장을 마다하는 이유는 땅속의 뿌리 때문이다.
작은 잎에서 만들어 낸 소량의 영양분을 자라는 데 쓰지 않고 오직 뿌리를 키우는 데 쓴다.
눈에 보이는 생장보다는 자기 안의 힘을 다지는 데 집중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어떤 고난이 닥쳐도 살아남을 수 있는 힘을 비축하는 시기, 뿌리에 온 힘을 쏟는 어린 시절을 ‘유형기’라고 한다.
나무는 유형기를 보내는 동안 바깥세상과 상관없이 오로지 자신과의 싸움을 벌인다.
따뜻한 햇볕이 아무리 유혹해도, 주변 나무들이 보란 듯이 쑥쑥 자라나도, 결코 하늘을 향해 몸집을 키우지 않는다. 땅속 어딘가에 있을 물길을 찾아 더 깊이 뿌리를 내릴 뿐이다. 그렇게 어두운 땅속에서 길을 트고 자리를 잡는 동안 실타래처럼 가는 뿌리는 튼튼하게 골격을 만들고 웬만한 가뭄은 너끈히 이겨 낼 근성을 갖춘다.
나무마다 다르지만 그렇게 보내는 유형기가 평균 잡아 5년. 나무는 유형기를 거친 후에야 비로소 하늘을 향해 줄기를 뻗기 시작한다. 짧지 않은 시간 뿌리에 힘을 쏟은 덕분에 세찬 바람과 폭우에도 굳건히 버틸 수 있는 성목으로 거듭나는 것이다.
열심히 자라는 데 총력을 기울이던 나무는 여름이 깊어질수록 조금씩 성장을 멈추기 시작한다. 햇살이 여전히 머리 위에서 작열하고 있고, 날이 추워지려면 아직 한참이나 남았는데도 더 이상 뻗어 나가지 않는 것이다.
그렇게 멈춘 가지는 그 끝에 꽃을 피운다.
성장을 멈추고는 꽃을 피우는 것이다.
한여름 우리의 눈을 기쁘게 하는 형형색색의 꽃들은 가지가 성장을 멈췄다는 증거다.
멈추지 않고 계속 자라기만 하면 풍성한 꽃도, 꽃이 진 자리에 달리는 튼실한 열매도 볼 수 없다. 내처 자라기만 하면 하늘에 가까워질 수는 있어도 뿌리로부터 점점 멀어져 결국 에너지가 고갈되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나무는 스스로 멈춰야 할 때를 잘 안다.
지금까지 최선을 다해 성장했고, 욕심을 내면 조금 더 클 수 있다는 것도 알지만 어느 순간 약속이라도 한 듯 나무들은 자라기를 멈춘다. 마치 동맹을 맺듯 ‘나도 그만 자랄 테니 너도 그만 자라렴’ 하고 함께
'BookDiges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좋은글]"나는 나무에서 인생을 배웠다." 중에서 네번째 교훈 (0) | 2020.02.14 |
---|---|
[좋은글]"나는 나무에서 인생을 배웠다." 중에서 세번째 교훈 (0) | 2020.02.08 |
[좋은글]"나는 나무에서 인생을 배웠다." 중에서 (1) | 2020.02.01 |
[독재의 역사]2. 나치스와 히틀러 교육제도 개혁의 음모 (0) | 2019.10.23 |
[독재의 역사]1. 떠돌이에서 수상이 된 히틀러: 발톱을 감추고... (0) | 2019.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