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샹그릴라! 그리스! (136) 썸네일형 리스트형 [그리스여행] 엘레우시스: 데메테르, 페르세포네 신화 엘레우시스 또는 영어 이름으로 에레프시나 Elefsina는 아테네에서 잘 뚤린 고속도로를 따라 20여분이면 도착할 수 있는 도시이다.펠로폰네소스 반도로 건너 가기 위해서 육지가 병목처럼 좁아지는 지협을 지나야 하는데 그 시작이 에레우시스인 것이다. 이곳은 그리스 신화의 중요한 이야기로 부터 페르시아 전쟁의 가장 중요한 전투까지 고대 그리스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곳이다.데메테르는 그리스 신화 중에서 대지의 신이다. 농사를 관장하는 매우 중요한 여신에게는 페르세포네라는 딸이 있었는데 지하세계의 왕 하데스가 반하고 말았다. 하데스는 절차는 무시한 채, 페르세포네를 납치해 지하세계로 내려가 버렸다. 딸은 잃은 데메테르는 폐인이 되어 딸을 찾아 그리스 전역을 뒤지고 다녔다. 대지의 여신이 그 지경이니 농사는 흉년.. [그리스여행]이피게네이아 신화가 얽힌 브라브로나 Vravrona 그리스의 매력에 빠져 한 여름에 홀로 그리스 자유여행을 떠났다. 아테네 국제 공항에 도착한 후 차를 렌트하였는데 하필 현대자동차의 i10을 배정한다. 한국 여권을 내놓은 나에게 한국차를 배정하는 직원이 미웠지만 그렇다고 창피하게 일제차를 달라 하기는 싫었다. 내가 내 나라 차를 싫다고 하면 어떤 소문이 나겠는가? 쓸데없는 오지랍을 부리는 것일수도 있지만...그리고 차가 주차되어 있는 곳에 도착해 후회했다. 현대차가 도장이 나쁘다는 평은 익숙하지만 이건 페인트가 거의 무광처리 된 것 같이 변해 있고 헤드라이트의 유리도 변색되어 있었다. 그리스의 강렬한 태양이 그렇게 만든 것이었다. 시동을 걸고 달리는데 시속 80킬로 이상은 무리인 차 상태였다. 나의 첫 목적지는 브라브로나 또는 브라우론. 공항에서 20분.. [그리스여행 정보] 고대 페르시아의 2차 침공: 살라미스 해전 자신들의 고향을 유린당한 아테네 인들의 슬픔과 분노는 다른 그리스 도시국가들의 행동때문에 극한을 향해 치닫고 있었다.퇴각 결정.스파르타를 포함한 펠로폰네소스의 그리스 도시국가가 내린 결정을 보고 테미스토클레스는 위험한 모험을 하기로 한다.시키누스 Sicinnus는 페르시아 출신으로 전쟁포로가 되어 테미스토클레스의 노예가 되었다. 아마도 상당한 지식인이었던듯 테미스토클레스는 시키누스를 자기 자식들의 가정교사로 삼았다. 그런 은혜를 입었으니 시키누스의 충성심은 각별할수 밖에 없었다.테미스토클레스는 시키누스에게 편지 한 통을 주어 크세르크세스에게 전하도록 한다. "대왕이시여. 대왕의 뜻에 동조하는 아테네 장수 테미스토클레스가 기밀 정보를 보고합니다. 아테네의 해군은 내분이 일어나 군기가 형편없으며 곧 퇴각할 .. [그리스여행 정보] 고대 페르시아의 2차 침공: 아테네 점령 크세르크세스의 육군이 테르모필라에에서 스파르타의 왕 레이니다스가 이끄는 300명 결사대에게 혼줄이 나고 있는 동안바다에서 페르시아 해군도 테르마 (지금의 테살로니키)에서 출항하여 항해하던 중 태풍을 만나 3일 만에 400여척의 전함을 포함한 수많은 선박이 침몰하는 피해를 입었다. 페르시아 해군의 피해 소식에 고무된 그리스 해군은 아르테미시움Artemisium에서 해전을 펼친다.막대한 피해를 입기는 했어도 페르시아 해군은 그리스 해군보다 훨씬 많은 전함을 갖고 있었으므로 그리스 해군의 분투에도 불구하고 피해만 커질뿐 승부가 나지 않았다.그러던 중 테르모필라에가 크세르크세스 손에 떨어졌다는 정보가 전해졌고 전의를 잃은 그리스 해군은 즉시 수니온 곶을 지나 살라미스 섬까지 후퇴하였다. 사태가 이쯤되자 아테네A.. [그리스여행 정보] 페르시아의 2차 그리스 침공: 크세르크세스 진군 마라톤 전투에서 참패를 당한 페르시아의 다리우스 왕은 귀국하자 곧 바로 복수전을 위한 준비를 시작한다. 하지만 복수를시작하기도 전에 죽어버리고 아들 크세르크세스 Xerxes가 왕위를 계승한다. 영화 '300'에서 이상한 차림을 한 왕으로 표현된 것이 바로 이 사람. 크세르크세스 왕은 기원전 480년 사르디스를 출발 대군을 이끌고 육로로 진격한다. 아시아와 유럽을 가르는 헬레스폰트해협을 부교를 건설해 통과한 그는 트라케 Thrace 지방으로 진군하며 계속 병력을 보강했는데 전사만 육군과 해군을 합쳐264만명을 넘었다고 한다. 지원 인력까지 포함하면 최소 528만명이 이동했다고 한다. 고대 기록이 10배로 뻥튀기 되었 다 해도 26만의 병력을 동원한 것 조차 당시로는 유래가 없는 것이었다. 크세르크세스의 침.. [그리스여행 정보] 고대 페르시아의 1차 그리스 침공: 마라톤 전투 아시아 최강의 제국 페르시아의 심기를 건드린 아테네. 바람 앞에 선 촛불이 된다. 페르시아의 다리우스 대왕은 수많은 전쟁을 승리로 이끈 명장이었으므로 싸움은 해보나 마나한 것 처럼 보였다.기원전 490년 페르시아 군대가 수백척의 전함을 타고 트라케 해안을 따라 아테네를 향해 항해하여 마라톤 평야에 상륙한다.이들의 길잡이는 한 때 아테네의 참주였던 히피아스. 참주는 현대의 독재자에 해당하는데 히피아스는 폭정을 휘두르다 아테네에서 쫒겨났다. 그런 그가 아테네에서 추방당한 보복을 위해 페르시아의 앞잡이가 된 것이다.백만대군이란 말이 있지만 현대 전술가들의 분석에 의하면 페르시아 육군은 10만 명이었다고 한다.이에 비해 아테네는 주변 지역을 탈탈 털다시피해서 모은 9천명이 전부였다.마라톤 평야는 아테네에서 불과.. [그리스여행 정보] 고대 그리스 - 페르시아 전쟁의 배경 지금 터키 땅인 소아시아의 해안선에는 수많은 그리스 식민지가 건설되었다. 그들은 내륙의 뤼디아 왕국 Lydian Kingdom과 맞닿아 있었으며 기원전 560년 즉위한 크로에소스 Croesus에 의해 정복당한다 뤼디아는 당시 최대 세력인 메데스 왕국 (아래 사진 속 연두색 지역)과 인접하였고 두 왕국은 평화롭게 공존했다 연두색: 메데스 왕국 판도메데스 왕국은 산악지역에 거주하던 페르시아 인들에게 정복당한다. 페르시아의 퀴루스 Cyrus왕은 기원전 559년 메데스 왕국을 정복하고 이어서 뤼디아 왕국까지 정복한다. (기원전 546년) 그리고 소아시아 해안과 도서지방의 그리스 식민 지를 모두 정복한다. 사모스 섬을 제외하고... 사모스에는 참주 폴뤼크라테스Polycrates가 지배하였는데 수백척의 전함을 거느.. [그리스여행 정보] 고대 그리스 식민지 - 북쪽의 코르퀴라, 칼키디케, 비잔티움 등 이오니아 해 Ionian Sea 동쪽 해안에도 그리스 식민지가 개척되었는데 코르퀴라 Corcyra가 가장 번창하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금은 코르푸 Corfu라고 부르는 이 섬은 코린트 인에 의해 기원전 700년에 세워졌다. 그리고 머지 않아 코린트와 무역 경쟁자의 위치에 오르게 되어 비극이 잉태된다. 기원전 664년 부터 코린트와 코르퀴라는 해전을 벌이더니 급기야 수십년에 걸친 펠로폰네소스 전쟁의 발단이 된 것이다.코르푸의 해안은 아름답기로 유명하고 또 복잡한 해안선 때문에 해적의 소굴이 되기도 하였다.코르퀴라의 부근에 레우카스 Leucas, 아낙토리움 Anactorium, 아폴로니아 Apollonia, 그리고 에피담노스 Epidamnus에도 그리스 식민지가 개발되었다.그리스 동북부, 마케도니아 M..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