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펠로폰네소스

(6)
[두번째 그리스여행]21 마니 반도의 거친 아름다움 펠로폰네소스 반도는 독수리의 발과 흡사하다. 반도 안에 네게의 작은 반도를 가지고 있는 것. 우선 아테네를 마주하는 가장 동쪽 반도에는 영웅 테세우스가 자란 트로이젠이 있고, 스파르타를 지나 남동쪽으로 달리면 만나는 두번째 반도에 모넴바시아가 있다. 마니는 세번째 발가락 모양의 작은 반도를 부르는 이름이다. 이 반도를 위성촬영한 영상을 보면 펠로폰네소스 반도의 다른 곳보다 훨씬 험준한 산맥이 반도를 등뼈처럼 가로지르고 있다. 이같은 지형은 외부와의 단절을 초래해 발전이 느리고, 외부 세력에 저항적인 사람들을 길러냈다고 한다. 여행스케치모넴바시아의 아름답고 낭만적인 풍경을 떠난 나그네는 북서쪽으로 달려 항구도시 기티오를 지나 마니 반도로 들어간다. 스파르타의 핵심항구였던 기티오의 소박한 번화함은 도시를 떠..
[두번째 그리스여행]20 모넴바시아: 에게해의 두브로브니크 스파르타의 주력 항구는 남쪽으로 40여 킬로미터 떨어진 항구도시 기티오Githio였다. 이곳에서 동남쪽으로 약 50킬로를 더 가면 모넴바시아에 도착한다. 서기 375년 발생한 지진으로 육지에서 떨어져 나가 섬이 된 이곳은 방파제 덕에 다시 육지와 연결되었다. 얼핏보면 제주도 성산 일출봉을 보고있는 것 같은 착각이 들 정도로 많이 닮았다. 모넴바시아는 그리스어의 모네mone와 엠바시아emvasia의 합성어로 ‘하나의 입구’라는 뜻이다. 역사 몽셍미쉘이 커다란 수도원 섬인데 반해 모넴바시아는 583년에 세워진 비잔틴 제국의 요새였다. 돌 산의 정상은 마치 테이블처럼 평평해 병영은 물론 30명을 먹일 수 있는 농지까지 요새 안에 둘 수 있었다고 한다. 한번은 완전히 포위된 상태에서 3년간이나 수성을 한 적까지..
[두번째 그리스여행]19 스파르타 아크로폴리스 - 레오니다스 왕 스파르타는 펠로폰네소스 반도의 중심이라 할 수 있는 만티네아에서 정남향으로 100킬로미터 떨어져 있다. 북쪽에서 접근하는 길은 산들을 넘어야 한다. 스파르타를 둘러싸고 있는 것은 자연 방벽이라고 할 엄청난 산들이다. 산 속에 묻힌 농업국가가 스파르타 였다. 그들은 일단 터를 잡고 나서는 다른 나라를 정복하는데 열성적이지 않았다. 수많은 식민지를 개척한 아테네와는 대조적이다. 성벽에 가까이 다가가 스파르타 장갑 보병의 눈으로 주위의 산 마루를 살펴본다. 펠로폰네소스 북부에서 접근하는 길은 살짝 내리막인 길과 평지를 달리다 바로 스파르타 도심을 관통한다. 편도 2차선인 도로는 가로수가 심어진 화단이 중앙선을 대신한다. 평범한 지방의 소도시. 이 조용한 마을이 스파르타이다. 역사 스파르타는 그리스 고대사 그 ..
[두번째 그리스여행]17 만티네이아: 스파르타 아테네 테바이의 격돌 만티네이아 Mantinea는 그리스에서 보기 드문 평야 지대이다. 그래서 고대의 판도를 바꾼 대규모 전투가 두번이나 치러졌다. 그 첫번째 전투는 기원전 418년 펠로폰네소스 전쟁이 한창이던 때이다. 당시 스파르타의 왕은 아르키다무스 왕의 아들 아기스였다. 이 어린 왕은 기원전 420년 경 펠로폰네소스 연합군을 끌고 참전했으나 아테네와 교전을 피하고 동맹과 상의도 없이 휴전을 체결한 후 귀국하였다. 분노한 스파르타 시민들이 10000드라크마의 벌금(50억원상당)을 물리고 집까지 부숴버렸다. 궁지에 몰린 왕은 다른 전투에서 명예를 회복하겠다고 집정관들에게 호소하여 조건부 허락을 받는다. 조건은 왕이 군사행동 결정을 할 때 반드시 상의해야하는 고문을 데리고 출전하라는 것. 이윽고 전투는 만티네이아 평야에서 벌..
[두번째 그리스여행]13 미케네: 그리스를 정복한 산 속 아가멤논 왕궁 그리스의 첫 문명은 크레타의 미노아 문명이고, 그 뒤를 이은 것이 미케네 문명이다. 미케네는 아르고스와 코린트의 중간 정도에 있는데, 아르고스에서 가는 길은 평야지대를 지나간다. 목적지에 가까워지면 오르막이 되지만 미케네까지는 산이 험하지 않다. 도시는 높지않은 산의 중턱부터 정상에 걸쳐 있고 그 뒤로 두 배는 높은 돌산이 버티고 서 있다. 트로이 전쟁은 그리스 연합군이 소아시아에 있는 트로이로 쳐들어 간 기원전 1200년 경의 전쟁이다. 인류 최초의 서사시인 호머Homer는 왕비 ‘헬렌’을 납치해 간 것에 대한 보복이라고 썼지만 요즘의 고고학자들은 흑해로 가는 무역항로를 지배하는 위치를 차지하려는 다툼으로 해석한다. 헬렌은 스파르타의 왕비다. 그녀의 남편은 메넬라오스이고, 그의 형은 아가멤논이다. 일리..
[두번째 그리스여행]12 아르고스: 8천년 전부터 사람이 살고 있는 도시 고대로 부터 그리스 사람들은 페니키아와 이집트에서 문명이 전달되었다고 믿었다. 그리스엔 ‘펠라스고이’들이 살고 있었고, 이집트의 왕자 이나커스 Inachus가 처음으로 그리스에 상륙했다. 그는 아르고스를 세우고 펠라스고이에게 고기를 요리하는 법과 돌을 쌓아 건물을 짓는 방법을 가르쳐 주었다고 한다. 최소한 기원전 2000년 정도에 있었던 일이니 문자기록은 물론 없다. 이나커스가 세운 도시는 지진으로 사라지고, 한참 후 이집트인 다나오스가 다시 같은 자리에 도시를 세워 오늘에 이른다. 도리아 인의 침입과 때를 같이 한 헤라클레스의 후손들 시대에 아르고스는 그리스 최강의 도시로 군림했다. 기원전 490년 페르시아가 쳐들어 왔을땐 그리스의 거의 모든 도시들이 아테네와 스파르타에 협조, 연합군을 형성했지만 아르..

728x90
반응형